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금누리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금누리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503) N
    • 정부 지원금 & 복지 혜택 (17)
    • 건강비 절약 & 보험 꿀팁 (103)
    • 여성 건강 & 산부인과 정보 (15)
    • 피부과 치료 & 시술 정보 (1)
    • 자동차 중고차 & 보험정보 (0)
    • 부동산 계약 & 절세 노하우 (1)
    • 생활꿀팁 & 자전거 스포츠 (1)
    • 여름휴가 절약 시리즈 (10)
    • 실전금융전략 (3)
    • 노후자산관리 (2)
    • 디지털 자산 기초 (121) N
  • 방명록

전체 글 (503)
스테이블코인 거래소, 무엇이 다른가? – 국내외 주요 거래소 개념 총정리

최근 몇 년 사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역할이 급부상하면서 자연스럽게 스테이블코인 거래소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 거래소'라는 개념을 막연하게만 알고 있거나, 일반 암호화폐 거래소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거래소의 개념, 특징, 국내외 주요 거래소의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이 글 하나로 스테이블코인 거래소에 대한 기초부터 실전 비교까지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1. 스테이블코인이란?스테이블코인은 이름 그대로 ‘가치가 안정적인 코인’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발행됩니다:법정화폐 기반 (예: USDT, USDC, BUSD 등)암호화폐 담보 기반 (예: DAI)알고리즘 기반 (예: UST – 현재..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30. 10:55
“스테이블코인은 어떻게 수익을 줄까?” – 예치, 대출, 디파이의 모든 것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디지털 화폐를 넘어,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전통적인 예금 이자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면서도,가격 변동성 없이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혁신적인 금융 도구로 사용됩니다.이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다양한 수익 구조를예치, 대출, 디파이(DeFi) 관점에서 상세히 소개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해서 이자 받기 – 중앙화 플랫폼(CeFi)가장 쉽게 스테이블코인으로 수익을 얻는 방법은**중앙화된 금융 서비스(CeFi)**에 예치하는 것입니다.주요 플랫폼Nexo, Crypto.com, Binance EarnUSDT, USDC, DAI 등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을 지원수익 구조보통 연 5~12% 수준의 이자율플랫폼 자체 토큰으로 보상 시 더 높은 이자..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10:20
“스테이블코인, 법정화폐와 뭐가 다를까?” – 화폐의 본질을 다시 묻다

‘돈’은 무엇일까요?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현금, 통장 속 숫자, 그리고 신용카드 결제 모두는결국 ‘가치의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화폐입니다.그렇다면 스테이블코인은 진짜 ‘돈’일까요?이 질문은 단순히 기술적 차원을 넘어서, 화폐의 철학적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화폐의 3가지 기능경제학에서 화폐는 다음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해야 진정한 화폐로 인정받습니다.가치 저장 수단 (Store of Value)교환의 매개체 (Medium of Exchange)회계 단위 (Unit of Account)스테이블코인은 과연 이 기능을 만족시킬까요? 법정화폐: 정부가 보증하는 '믿음의 화폐'정의국가 정부가 발행하고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공식 통화대표적으로 원화, 미국 달러(USD), 유로(EUR), 엔화 등..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10:13
“스테이블코인은 왜 탈중앙화를 강조할까?” – 중앙화 vs 탈중앙화 구조 완전 해부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장점은 '가격의 안정성'입니다.그러나 가격 안정성만큼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누가 통제하는가?"**입니다.바로 이 지점에서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과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뉘며,이는 투자자에게 전혀 다른 리스크와 기회를 제공합니다. 중앙화 스테이블코인: 가격은 안정, 권력은 집중대표 코인:USDT (Tether)USDC (Circle)BUSD (Binance USD)특징:발행 주체(회사)가 명확함실물 자산(달러, 채권 등)을 은행에 보관고객 요청에 따라 1:1 교환 가능장점:빠른 환전, 높은 유동성대형 거래소에서 널리 사용 가능규제 대응력이 뛰어남리스크:발행사의 파산, 규제 리스크계정 동결, 자산 압류 등 중앙 통제가 가능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제한실제 사..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10:03
“스테이블코인의 세 가지 유형 – 법정화폐/암호자산/알고리즘 구조 완전 해부”

스테이블코인은 이름 그대로 ‘가격이 안정된 코인’을 의미합니다.하지만 모든 스테이블코인이 동일한 방식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아닙니다.어떤 자산을 담보로 하느냐, 또는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느냐에 따라그 구조와 리스크는 완전히 달라집니다.이번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대표적인 세 가지 구조:① 법정화폐 담보형, ② 암호자산 담보형, ③ 알고리즘 기반형을 깊이 있게 분석해 드립니다. 1.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구조입니다.미국 달러, 유로화, 엔화 등 실제 법정화폐를 은행에 예치하고그에 상응하는 수량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합니다.대표 코인:USDT (Tether)USDC (Circle)BUSD (Binance, 운영 중단 예정)특징:1:1 ..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09:58
“각국 정부는 왜 스테이블코인을 주목하는가?” – 글로벌 규제 현황과 정책 흐름 총정리

스테이블코인은 더 이상 암호화폐 투자자만의 관심 대상이 아닙니다.이제는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직접 나서서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고, 때로는 받아들이고,때로는 직접 유사한 기능의 디지털화폐(CBDC)를 개발하고 있습니다.그만큼 스테이블코인은 전 세계 금융 시스템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주는 존재로 성장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미국, 유럽, 아시아 주요국의 규제 흐름과 정책 방향을 통해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정부와 맞물려 있는지를 총정리합니다. 1. 미국 – 규제 명확화 시도 vs 정치적 충돌미국은 가장 많은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되는 국가입니다.USDT와 USDC, DAI 등 거의 모든 메이저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기업에 기반합니다.최근 정책 흐름: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발의 (Stablecoin TRUST Act)발행..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09:51
“지금 당장 쓰고 있는 사람들” – 실생활에 적용된 스테이블코인 사용사례 총정리

스테이블코인이라고 하면, 단순히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도구로만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하지만 실제로는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실질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니라, 결제, 송금, 급여 지급, 인플레이션 회피 수단 등실생활의 금융 활동에 깊이 들어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 글에서는 전 세계의 실전 사례들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실제 사용처와 이유를 명확하게 보여드립니다. 1. 아르헨티나 – 하이퍼인플레이션 회피 수단아르헨티나는 수년째 연간 100%가 넘는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현지 통화인 페소의 가치가 급락하면서, USDT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이 사실상의 ‘디지털 달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실제 사례:월급을 받자마자 USDT로 전환지역 온라인 마..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09:46
“스테이블코인을 거래소에 두면 위험할까?” – 보관 방식별 리스크 완전 해부

많은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한 후, 거래소에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과연 그것이 안전할까요?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안정적인 자산’이지만, 어디에 보관하느냐에 따라 그 안전성은 극명하게 달라집니다.이 글에서는 거래소, 개인지갑, 하드월렛, 디파이 등 주요 보관 방식의 리스크를 완전히 해부해보겠습니다. 1. 거래소 보관 – 가장 흔하지만 가장 위험한 방법?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업비트, 바이낸스, 빗썸, OKX 등 거래소에 로그인만 하면 언제든 거래 가능하니 편리하죠.그러나 보관의 안전성은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주요 리스크:거래소 해킹: 바이낸스/빗썸 등 과거 해킹 피해 사례 다수출금 제한/동결: 이상 거래 탐지 시 출금 불가거래소 파산: FTX 사태처럼 수십억 달러 자..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09:36
“스테이블코인, 어디에 예치해야 진짜 수익이 날까?” – 국내외 거래소와 디파이 수익률 비교 완전분석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보관하는 것을 넘어, 예치만 해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산입니다.특히 예금 금리가 2~3% 수준인 현실에서, 스테이블코인 예치는 연 5~10% 이상의 수익률도 가능하죠.하지만 어디에 맡기느냐에 따라 안정성과 수익률은 크게 달라집니다.이 글에서는 국내 거래소, 해외 거래소,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을 예치 수익률 기준으로 정밀 비교해보겠습니다. 1. 국내 거래소 – 접근성은 좋지만 수익률은 낮다대표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국내 거래소는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예치하는 기능은 거의 없습니다.특히 업비트는 테더(USDT) 등의 스테이블코인 지원도 제한적이며, 이자 제공은 아예 없습니다. 장점:원화 입출금이 편리함법적 규제가 비교적 명확 단점:예치 서비스 부재수익형 서비스 없음보관..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09:30
“스테이블코인은 정말 안전할까?” – 중앙화 vs 탈중앙화 구조 비교 완전 해부

스테이블코인은 이름 그대로 ‘안정적인 코인’이라는 뜻입니다.하지만 과연 정말로 안전할까요?이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핵심 구조를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각각이 가지는 안정성과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1. 중앙화 스테이블코인 – 가장 널리 쓰이지만 ‘신뢰 기반’대표적인 중앙화 스테이블코인으로는 **USDT(테더)**와 **USDC(서클)**가 있습니다.이들은 실제 미국 달러를 은행에 보관하고, 그만큼의 코인을 발행합니다.장점:1달러 가치가 유지되도록 설계거래소에서 사용이 편리하며 유동성이 높음기업이 관리하기 때문에 운영이 효율적단점:중앙화 기관의 신뢰에 의존은행 계좌 동결, 회사의 부도 등의 위험발행량 대비 실제 보유 달러가 부족할 경우 붕괴 가능성 존재 2.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 블..

디지털 자산 기초 2025. 7. 29. 09:25
이전 1 ··· 3 4 5 6 7 8 9 ··· 5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의료비 절약 시리즈 총정리
TAG
  • 예치 수익
  • 보험사별비교
  • 고수익 전략
  • 패시브 인컴
  • 암보험
  • 건강보험
  • USDT
  • 실손보험
  • usdc
  • 해외송금
  • 디파이
  • 디지털화폐
  • 건강보험 혜택
  • 디지털 자산
  • 스테이블코인 비교
  • 스테이블코인 예치
  • 티스토리 애드센스
  • 재난적의료비
  • 테더
  • 스테이블코인 결제
  • 병원비절약
  • 바이낸스
  • 2025 보험정보
  • 건강보험공단
  • dai
  • CBDC
  • 실비보험
  • 코인베이스
  • 스테이블코인
  • 병원비 줄이는 법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