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이 글은 누구를 위한 글인가요?

  • 병원에서 비급여 항목 진료를 받았지만 실손보험에서 보상이 안 될까봐 걱정인 분
  • 실비보험을 가입했는데 정확히 뭘 받을 수 있는지 모르는 분
  • 이미 치료를 마쳤지만 보험청구를 못한 채 지나간 사례가 있는 분

✅ 실손보험이 보장하는 항목은? 실손보험은 기본적으로 '비급여' 항목까지 보장합니다. 하지만 아래 조건에 따라 달라지죠:

  1. 치료 목적일 것
  2. 의사의 소견서 또는 진단서 등 객관적 자료가 있을 것
  3. 보험사에서 사전 고지한 제외 항목이 아닐 것 (예: 미용 목적 시술)

✅ 실비 청구 가능한 '비급여' 항목 예시 아래 항목은 실손보험으로 보장받은 사례가 있는 실질적인 비급여 항목입니다:

  • 도수치료 (단, 의사 소견서 필수)
  • 초음파 검사 (복부, 유방, 갑상선 등)
  • MRI / CT 촬영
  • 주사치료 (프롤로주사, DNA주사 등)
  • 비급여 약제 (의사의 처방을 받은 경우)
  • 정신과 상담치료 (의사 진단이 있는 경우)
  • 수액치료 (예: 피로회복 목적이 아닌 치료 목적)

✅ 실전 청구 팁: 이 서류를 꼭 챙기세요! 청구를 위해 반드시 준비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병원 진료비 영수증 (상세내역 포함)
  2. 진단서 또는 의사소견서 (특히 비급여 항목인 경우)
  3. 진료 확인서
  4. 처방전 및 약국 영수증 (약제비 청구 시)
  5. 통장 사본
  6. 신분증 사본

✅ 실손보험 청구 절차 – 모바일로 간단하게 대부분 보험사는 모바일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1. 보험사 앱 실행 → '보험금 청구' 메뉴 클릭
  2. 서류 촬영 또는 PDF 업로드
  3. 본인 계좌 입력
  4. 접수 완료 후 보통 3~5일 이내 지급

💡팁: 비급여 항목은 추가 심사가 들어갈 수 있으니, '의사 소견서'가 핵심입니다.


✅ 실전 사례: 이렇게 받아냈습니다

▶ 사례 1: 40대 여성, 허리 통증으로 도수치료 10회 → 총 75만원 지급받음 (소견서 첨부) ▶ 사례 2: 30대 남성, 불면증 치료로 정신과 진료 6회 → 총 22만원 지급받음 (진단서 첨부) ▶ 사례 3: 50대 남성, 복부 초음파 + 수액치료 → 총 18만원 지급


✅ 주의사항

  • '건강검진' 목적의 초음파나 MRI는 보상 제외
  • 병원에서 '영수증에 상세내역' 요청 꼭 하기 (간이영수증은 불가)
  • 사후 제출 기한 내 청구 필수 (일반적으로 3년 이내)

✅ 결론: 아직도 놓치고 계신가요? 비급여 항목도 얼마든지 실비로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은 "치료 목적 + 의사소견서"입니다. 이미 진료를 마쳤더라도 진단서만 있으면 얼마든지 청구 가능합니다.

👉 다음 글 예고: 『실비보험 '갱신형 vs 비갱신형' 비교 –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