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비 절약 시리즈 9탄] 노인 장기요양보험 혜택 쉽게 받는 법 – 대상, 신청, 혜택 총정리

“노인이 되면 의료비가 훨씬 많이 든다던데, 그냥 병원 다니는 것만으로도 감당이 안 돼요.” → 맞아! 그래서 있는 제도가 바로 **‘노인 장기요양보험’**이야.
이건 단순 보험이 아니라,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생활과 병원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 제도야. 금누리 스타일로 쉽게 정리해줄게!
1. 노인 장기요양보험이란?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중 노인성 질환자에게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 요양급여(방문요양, 시설 입소 등)를 지원하는 제도야.
2. 누가 대상이 될 수 있어?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치매, 중풍, 파킨슨, 관절염, 퇴행성질환 등으로 일상생활 어려움 있는 경우
또는 만 65세 미만이라도 위 질환 중 하나라도 있으면 가능 (예: 조기 치매, 뇌졸중 등)
3.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어?
1) 재가급여 (집에서 돌봄 받는 경우)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주야간보호센터 이용, 단기보호 등
2) 시설급여 (입소 형태)
노인요양시설 입소 비용 일부 지원
3) 복지용구 지원
보행보조기, 휠체어, 침대, 방석 등 구매·대여 가능 (최대 연 160만 원 한도)
4. 신청 절차는?
Step 1.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또는 전화(1577-1000) → “장기요양 인정 신청” 접수
Step 2. 공단 직원이 직접 방문 조사 (ADL 평가 등) → 일상생활 수행능력, 질병 여부 등 점수화
Step 3. 등급 판정 (1~5등급, 인지지원 등급) → 등급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범위 결정
Step 4. 요양기관 또는 센터 연계 시작!
5. 본인부담금은 얼마나 될까?
대부분 15% 수준만 본인이 부담하고, 나머지는 보험으로 지원
기초수급자 등은 전액 무료로 제공되기도 함
예시: 월 100만 원 요양서비스 → 본인부담 약 15만 원
금누리 꿀팁 정리!
부모님이 최근에 기억력 저하, 관절 불편, 보행 어려움 있으셨다면 바로 신청해보자
“지금은 조금 불편한 정도”여도 인지지원등급은 충분히 나올 수 있어
단순 돌봄 서비스가 아니라 의료비, 간병비, 복지용품까지 함께 줄일 수 있는 핵심 정책!
[다음 편 예고]
10탄. 정신건강 치료비 절약법 – 우울증, 불안장애 상담·약값 줄이기
놓치지 말고 금누리 블로그 즐겨찾기 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