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의료비 절약 시리즈 6탄] 병원비 세액공제 꿀팁 – 연말정산에 제대로 반영하는 법

금누리닷컴 2025. 4. 11. 08:34


병원비 때문에 허리 휘는데, 연말정산 할 땐 “이거 공제되나?” 싶은 경우 많지?

사실 우리가 낸 병원비 중 상당 부분은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받을 수 있어. 단, 조건과 방법을 제대로 알아야 손해 없이 돌려받을 수 있다는 거!

오늘은 병원비 세액공제 제대로 챙기는 법, 금누리 스타일로 핵심만 정리해줄게!



1. 의료비 세액공제란?

근로자가 본인·배우자·부양가족을 위해 지출한 의료비 중 일정 금액을 세금에서 공제해주는 제도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환급받는 방식



2. 공제 대상 의료비는?

본인 + 배우자 + 부양가족의 아래 항목 해당 시 공제 가능!

병·의원 진료비, 수술비, 입원비

처방약 구입비

시력 교정용 안경/콘택트렌즈 (1인 연 50만 원 한도)

치과 치료비 (미용 목적 제외)

장애인 보장구, 예방접종, 한의원 치료비 등 포함


Tip: 피부과 미용 시술, 라식, 성형 등은 대부분 비공제 (비급여 + 미용 목적)



3. 공제 조건은?

총 급여의 3%를 초과한 의료비만 공제 대상!


예시: 연봉 3,000만 원이면 → 90만 원 초과한 의료비부터 공제 가능 → 150만 원 병원비 썼다면, 60만 원에 대해서만 공제

공제율: 공제 대상 금액의 15% 세액공제 (장애인 의료비는 20%)




4. 연말정산 시 의료비 조회 방법

국세청 홈택스 접속 → '연말정산 간소화' 메뉴

'의료비 조회' 클릭하면 병원, 약국, 안경점 등 지출 내역 자동 확인 가능


주의:

일부 한방병원, 소형 의원, 개인 약국 등은 누락될 수 있으니 영수증 직접 제출 필요



5. 공제 누락 없이 챙기는 꿀팁

1.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의료비 누락 여부 꼭 체크


2. 가족 중 누가 공제받는 게 유리한지 시뮬레이션 해보기


3. 맞벌이 부부라면 의료비는 한 명에게 몰아서 처리하는 게 유리할 수 있음!


4. 안경·콘택트렌즈는 결제 시 '세금계산서 요청' 필수!




금누리 꿀팁 정리!

병원비 환급은 ‘받는 사람이 준비한 만큼’ 돌아온다!

홈택스 간소화 서비스는 매년 1월 15일 오픈 → 캘린더에 저장 필수!

본인부담금 내역은 ‘The건강보험’ 앱에서도 미리 확인 가능



[다음 편 예고]
7탄. 만성질환자 지원 정책 – 당뇨·고혈압 환자에게 꼭 필요한 혜택들

놓치지 말고 금누리 블로그 즐겨찾기 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