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검진은 다 똑같이 받는 거 아냐?”
아니에요. 아는 만큼 더 받고, 모르면 손해만 봐요.
국가에서 무료로 해주는 건강검진은
어떤 항목을 받을 수 있는지, 언제 받는지, 어떻게 예약하는지
잘 알면 수십만 원 절약은 기본이고,
질병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요.
1. 건강검진, 무조건 2년에 한 번 받을 수 있어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홀수/짝수 해 기준으로
만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년에 한 번 정기 검진을 무료로 실시하고 있어요.
예:
출생연도가 홀수인 사람 → 홀수 해에 대상
짝수인 사람은 짝수 해에 가능
검진 대상자는 문자나 우편으로 통보 오는데,
연락이 안 와도 직접 확인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2. 무료로 받을 수 있는 항목, 생각보다 많다!
일반 건강검진 (신체계측,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
간암,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등 암 검진
치매, B형간염, 골다공증, 정신건강(우울증) 등 항목은 조건별 추가 제공
연령대별, 성별, 가족력에 따라 추가 검진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내가 받을 수 있는 전체 항목은 반드시 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해요.
3. 건강검진은 아무 병원에서나 되는 게 아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정 병원에서만 검진이 가능해요.
동네 병원이라고 무조건 되는 게 아니라,
“국가검진 가능” 병원만 예약해야 무료 적용됩니다.
전화로 예약할 땐 반드시 “건강보험공단 검진 대상자인데 검진 받으러 간다”고 말하기!
4. 암 검진은 별도로 꼭 챙겨야 합니다
암 검진은 무료인데도
사람들이 따로 신청하지 않아서 그냥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
위암: 만 40세 이상 / 2년 1회
대장암: 만 50세 이상 / 1년 1회 (분변잠혈검사)
유방암: 만 40세 이상 여성 / 2년 1회
자궁경부암: 만 20세 이상 여성 / 2년 1회
간암: 고위험군 / 6개월 1회
검진 알림이 안 와도, 나이와 조건에 해당되면 스스로 신청 가능!
5. 건강검진 받고 실손보험 청구하면 돈도 돌려받는다?
검진 중 초음파, 조직검사 등 비용 발생 항목은
실손보험 청구가 가능한 경우도 있어요.
병원에 따라 건강검진 중 추가 검사비가 나오면
진단코드가 들어간 영수증 + 진료확인서 받아서
보험사에 제출하면 일부 돌려받을 수 있음!
금누리 한 줄 요약
국민건강검진은 “기다리면 알아서 오는 게 아니라, 내가 챙기는 것”
검진대상, 항목, 시기까지 꼼꼼히 확인하고
무료니까 더 적극적으로 챙겨야 건강과 돈, 둘 다 지킨다!